최근 경주와 포항에서 규모 5.0을 넘는 지진들이 잇달아 일어나고 건물들의 지진 피해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짐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설계 원리와 방법을 건축구조기술자들에게 시급히 알려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첫 번째 저자와 동양미래대학교 이수권 교수, 서울시립대학교 김강수 교수가 이 일을 논의한 끝에 내진설계와 더불어 콘크리트 보강에 효율성과 적용성이 커지고 있는 프리스트레싱 공법까지 망라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김강수 교수, 내진설계는 이수권 교수가 집필하여 5판에 각각 13장 및 14장으로 추가하여 7판으로 출간하는데 합의를 보았다.
본서가 건축구조설계의 길을 걷는 기술자들에게 도움을 주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음을 인정하면서도 차후 밀도 높은 수정보완을 통하여 기대에 부응할 것을 약속드리는 바이다.
1장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일반사항
1-1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개요
1-2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역사적 배경
1-3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2장 재 료
2-1 개 요
2-2 콘크리트의 구성재료
2-3 콘크리트의 강도
2-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
2-5 콘크리트 보강용 철물
3장 구조설계의 일반사항
3-1 구조설계 개요
3-2 구조설계의 순서
3-3 허용응력설계법
3-4 한계상태설계법
3-5 구조 안전성
3-6 하 중
4장 보의 해석과 설계
4-1 개 요
4-2 휨 해석의 기본 사항
4-3 단근 직사각형보의 해석
4-4 복근 직사각형보의 해석
4-5 연속 휨부재의 모멘트 재분배
4-6 T형보의 해석
4-7 보의 설계
5장 보의 사용성
5-1 개 요
5-2 보의 처짐
5-3 균 열
6장 전단 및 비틀림
6-1 개 요
6-2 전단응력 및 휨전단의 주응력
6-3 전단에 대한 보의 거동
6-4 보의 전단설계
6-5 전단마찰설계
6-6 스트럿-타이 모델
6-7 깊은 보의 설계
6-8 브래킷과 내민 받침
6-9 비틀림을 받는 보의 해석과 설계
7장 철근의 정착과 이음
7-1 개 요
7-2 부착의 기본
7-3 정착 길이
7-4 갈고리에 의한 인장철근의 정착
7-5 휨철근과 복부철근의 정착
7-6 철근의 이음
8장 슬래브의 설계
8-1 개 요
8-2 슬래브 설계의 기본 사항
8-3 직접설계법
8-4 등가 골조법
8-5 1방향 슬래브
8-6 슬래브의 철근 배근
8-7 슬래브의 전단설계
9장 기둥의 설계
9-1 개 요
9-2 기둥 설계의 기본 사항
9-3 직사각형 기둥의 설계강도
9-4 원형 기둥의 설계강도
9-5 2축 휨을 받는 기둥
9-6 세장 효과의 해석
10장 기초 설계
10-1 개 요
10-2 기초 해석의 기본 사항
10-3 독립기초의 설계
10-4 연속기초의 설계
10-5 복합기초
10-6 말뚝기초
11장 옹벽 설계
11-1 개 요
11-2 횡방향 토압
11-3 옹벽설계에 대한 검토
12장 벽체 설계
12-1 개 요
12-2 내력벽의 설계
12-3 전단벽 설계
13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13-1 개 요
13-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의 분류 및 기본 개념
13-3 휨부재의 거동 및 설계
13-4 전단설계
14장 내진설계
14-1 개 요
14-2 설계스펙트럼 가속도
14-3 등가정적해석법
14-4 특수모멘트 골조
14-5 중간모멘트 골조
15장 허용응력설계
15-1 개 요
15-2 재료의 정수 및 허용응력
16장 보의 허용응력설계
16-1 개 요
16-2 보의 구조제한
16-3 단근 직사각형보의 응력 해석
16-4 복근 직사각형보의 응력 해석
16-5 T형보의 응력 해석
17장 슬래브의 허용응력설계
17-1 개 요
17-2 슬래브의 구조제한
17-3 2방향 슬래브
18장 기둥의 허용응력설계
18-1 개 요
18-2 기둥의 구조제한
18-3 중심 축하중을 받는 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