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교감치유는 전 세계적으로 그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2020년 미국의 AKC 통계에 의하면 180여 개의 동물 교감치유 단체에서 약 4만 명의 치유사(종사자 포함)가 있으며 호스피스 병동의 약 60% 환자에게 동물 교감치유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동물교감 치유는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대상자에게 보완 및 대체요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다학제적 학문이다.
건국대학교에서 축산학(농학사)과 동 대학원에서 농업교육학(교육학 석사)을 공부하였다.
PART I 인간과 동물 13
01 동물의 이해 16
1.1 인간과 동물의 공존 16
1.2 동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 20
02 동물의 가축화와 이용 24
2.1 동물의 가축화 24
2.2 동물의 분류와 이용 27
PART Ⅱ 동물 교감치유의 이해 33
01 동물 교감치유의 정의와 역사 36
1.1 관련 용어의 정의 36
1.2 동물교감 활동과 동물교감 치유 38
1.3 동물 교감치유의 역사 43
1.4 우리나라 동물 교감치유 현황 48
02 동물 교감치유의 특징과 효과 49
2.1 동물 교감치유의 특징 49
2.2 동물 교감치유의 효과 54
03 동물 교감치유의 4요소 60
3.1 교감 치유동물 61
3.2 교감치유사 66
3.3 대상자 68
3.4 교감치유 활동 72
PART Ⅲ 치유 대상자의 심리상담 79
01 주요 심리상담의 이론 82
1.1 정신분석 상담 82
1.2 인간중심 상담 88
1.3 행동주의 상담 91
1.4 인지 · 정서 · 행동 치료 96
1.5 게슈탈트 상담 99
1.6 현실요법 상담 102
02 상담의 기본과 윤리 107
2.1 심리상담의 원리와 기법 107
2.2 동물 교감치유사의 윤리 115
2.3 동물교감치유사의 복장 117
03 동물교감 치유의 적용 기법 120
3.1 사양 · 관리하기 120
3.2 접촉 · 포옹하기 123
3.3 보상하기 125
3.4 손질 · 미용하기 127
3.5 운동 · 놀이하기 128
PART Ⅳ 동물농장의 조성과 운영 135
01 치유농업과 치유 동물농장 138
1.1 치유농업의 이해 138
1.2 치유 동물농장 143
02 치유 동물농장의 조성과 관리 147
2.1 치유 동물농장의 환경 147
2.2 치유 동물농장의 관리 150
03 치유 동물농장의 시설 153
3.1 실내 치유실 153
3.2 현장 치유장 155
04 치유 동물농장 운영 159
4.1 치유 동물농장 운영의 기본 159
4.2 치유 동물농장의 경영 형태 162
4.3 치유농장 운영자의 역량과 자질 165
05 치유동물의 보호와 관리 170
5.1 치유동물의 보호 170
5.2 농장의 방역과 질병 관리 173
PART Ⅴ 동물복지와 사육환경 181
01 동물복지 184
1.1 동물복지의 이해 184
1.2 하나의 건강과 하나의 복지 191
1.3 정형 행동과 행동의 풍부화 196
02 동물 복지적 사육 200
2.1 동물 복지적 사육기준 200
2.2 동물복지 축산농장 201
03 동물의 사육환경 211
3.1 자연환경 211
3.2 사회환경 213
3.3 시설환경 215
PART Ⅵ 동물의 훈련과 자격평가 219
01 동물의 행동 222
1.1 동물 행동의 이해 222
1.2 동물 행동의 발달과 학습 224
02 치유동물의 훈련 229
2.1 동물훈련의 이해 229
2.2 반려견 훈련하기 232
03 치유견의 자격평가 235
1.1 GCDS 자격평가 235
1.2 CGC 자격평가 237
1.3 TDI 자격평가 239
1.4 펫 파트너 프로그램 240
1.5 터스키기 행동 평가 243
1.6 에소테스트 2005 244
1.7 반려견 행동 평가(C-BARQ) 250
1.8 치유견의 선발과 관리 254
PART Ⅶ 동물 교감치유의 과정 259
01 사정 단계 262
1.1 정보수집 262
1.2 자원의 점검 268
02 계획단계 273
2.1 진단하기 273
2.2 목표 설정하기 275
2.3 계획 수립하기 277
03 실행단계 282
3.1 초기 단계 282
3.2 중기 단계 290
3.3 종결단계 294
04 평가단계 298
4.1 평가의 이해 298
4.2 평가의 방법 300
4.3 사후관리와 추후평가 306
PART Ⅷ 농장 동물 교감치유 309
01 닭 교감치유 312
1.1 닭 교감치유의 이해 312
1.2 닭 교감치유의 실제 317
02 염소 교감치유 364
2.1 염소 교감치유의 이해 364
2.2 염소 교감치유의 실제 369
03 돼지 교감치유 387
3.1 돼지 교감치유의 이해 387
3.2 돼지 교감치유의 실제 393
04 소 교감치유 408
4.1 소 교감치유의 이해 408
4.2 소 교감치유의 실제 414
05 말 교감치유 444
5.1 말 교감치유의 이해 444
5.2 말 교감치유의 실제 449
PART Ⅸ 반려동물 교감치유 477
01 반려견 교감치유 480
1.1 반려견 교감치유의 이해 480
1.2 반려견 교감치유의 실제 486
02 반려묘 교감치유 542
2.1 반려묘 교감치유의 이해 542
2.2 반려묘 교감치유의 실제 549
03 반려 토끼 교감치유 587
3.1 반려 토끼 교감치유의 이해 587
3.2 반려 토끼 교감치유의 실제 592
PART Ⅹ 동물 교감치유의 평가와 연구 619
01 동물 교감치유의 평가 622
1.1 정신적 영역의 평가 622
1.2 신체적 영역의 평가 668
02 측정 도구의 검증 675
1.1 측정과 검사의 기본 675
1.2 검증 방법의 유형 678
03 동물 교감치유의 연구 680
1.1 연구의 필요성과 유형 680
1.2 연구 보고서 작성 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