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가공기계학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식품학회 초창기부터 식품공학을 한 분야로 인정하고 그 교육과 연구개발을 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초기 식품학회는 농산물의 가공 특히 수도작 도정만을 취급하는 농산가공기계학 분야를 다루었다. 이후에 여러 종류의 농산물의 수확후처리가 중요시 되어 가공 및 저장 등의 수확후처리공학 분야도 집중하게 되었다. 또한 농산물의 식품으로서 가치 증진과 저장성 제고를 위해 농산물들을 식품으로 가공하여 첨단기술로 포장하고 저장 및 유통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 식품학회에서 기존에 없던 농식품가공 전문 서적을 집필하게 되었다. 농식품의 전처리 공정, 가열처리, 비가열처리 및 포장기술의 4개 분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도시생태 및 녹지계획
건강한 도시의 창출과 복원은 에너지유동, 물질순환, 생물이동 및 서식 등 생태계 기능의 이해와 계획에의 응용을 요구한다. 도시녹지는 도시생태계의 건전한 기능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구조적 요소이다. 따라서, 본 저서는 생태적 접근을 통한 도시계획으로서의 도시생태계획, 그리고 도시생태계획에 긴요한 대상으로서의 도시녹지계획을 융합하여 “도시생태 및 녹지계획”으로 작명하였다. 저서의 전반부에는 생태도시 개념과 계획이론의 고찰을 포함하여 생태계 기능의 원리와 이론을 용용한 도시생태계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반부 이후에서는 도시녹지의 생태기능을 기술하고, 이를 증진하기 위한 도시녹지 생태계획의 과정과 방법, 도시녹지 유형별 생태계획 요령, 생태기능별 도시녹지계획 기법 등을 수록하였다.
로봇공학의 이해
로봇 공학과 연관된 분야는 생산 공정의 연성 자동화(soft-automation)에서부터 자율 주행 스마트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하며, 향후 미래에는 바이오-생명 기술과의 결합 등 그 발전 방향과 확대 영역은 무궁무진하다. 따라서 이 책은 로봇 공학에서 중요한 몇 가지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기보다는 여러 분야의 내용을 넓게 다루고자 하였다. 이 책은 공학계 관련 학부의 고학년생들과 대학원 석사 과정생을 주요한 대상으로 하여 설정되었으며, 로봇 산업 실무 종사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메카트로닉스 개론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기계(Mechanics)와 전자(Electronics)의 융합기술로 지능형 로봇, 반도체의 디스플레이 제조장비, 자동화장비 산업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요소기술은 기계설계(Mechanical design), 제어(Control), 임베디드시스템(Embedded system), SI(System integration) 기술 등이 있다. 본서는 자동화・제어분야의 기초 학문으로 메카트로닉스에 입문한 공학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반도체공학도를 위한 전자회로실험
본 교재는 반도체공학에 관심이 있는 전기・전자공학 관련학과의 기초전자회로 실험을 위한 것으로 가급적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JFET, MOSFET의 동작 특성과 관련하여 반도체의 물성과 소자의 구조가 각 소자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려 노력하였다. 1장에서 15장까지는 전자회로 실험을 위한 기초지식,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JFET, MOSFET의 동작과 간단한 응용회로에 대한 실험이고 16장부터 29장까지는 차동증폭기, 연산증폭기 특성 및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회로와 전압조정기, 발진기회로에 대한 것이다. 마지막 단원은 Multisim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회로 설계와 동작 검증을 위한 것이다.
부동산공법 입문
사례로 배우는 정밀기계제작실습 -라미네이터편
이 책은 대학의 기계공학과 또는 전문대학의 기계공학과 상급반 학생을 대상으로 정밀기계 제작의 실습 수업을 위해 집필한 도서이다. 전자부품의 대량생산에 실제 사용되고 있는 라미네이터라고 하는 정밀기계를 사례로 하여 전체 제작 단계 즉 ‘설계→가공→조립→성능측정→유지관리’를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실습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삼국지로 이해하는 전략과 전술
『삼국지』는 우리에게도 오래전부터 친숙하게 읽혀 왔던 고전 중의 하나이다. 저자는 용병술체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오랜 기간에 걸쳐 노력하였으나 항상 쉽게 전달하지 못했다는 죄송스러움과 함께 흥미를 주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떨칠 수 없었다. 이를 좀 더 쉽고 부담 없이 접근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이어가던 중에 『삼국지』에 나오는 전투장면을 적용해 보고자 자료를 발췌하여 정리해 보았다.
생체공학
2005년부터 농업기계공학과가 바이오시스템공학과로 전환되기 시작하면서 현재 대부분의 대학들이 바이오공학 분야를 도입하면서 바이오시스템공학, 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 또는 생물산업기계공학으로 전환된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공학 또는 생체공학 전문 서적이 한 권도 없었는데, 이번에 학회 차원에서 생체공학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다. 본 도서는 바이오시스템공학 측면에서 바이오공학을 포괄적으로 소개하는 차원에서 근골격계 생체역학, 세포 및 조직 생체역학, 생체재료, 생체조직공학, 나노공학 그리고 응용기술의 6개의 분야로 나누어 집필하였다.
생활권 조경수 병리학
이 책의 제1장은 일반적인 수목병리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총론으로 수목병해의 발생, 발병과 환경, 병징과 표징, 진단 원리 및 방법을 다뤘고, 제2장은 조경수에 발생하는 병해를 곰팡이,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선충, 종자식물, 조류 및 지의류 등 원인별로 구분하여 주요 조경수병의 병징과 표징 그리고 병원체를 원색 사진으로 게재함으로써 조경수병에 대한 현장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집필하였다. 수목병을 공부하는 학생, 가정에서 조경수를 가꾸는 재배자, 생활권 수목의 건강을 담당하는 관리자는 물론이고 조경수 보호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한 참고서로 활용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