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이용한 선박제도
기계설계
기계설계는 수년간에 걸친 자료수집과 저자의 오랜 강의 경력을 바탕으로 4년 여에 걸쳐 저술한 것으로, 30여 권의 설계관련 text와 편람 및 catalog 등의 자료를 참고하여 대학 강단은 물론 산업체에서도 설계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기초설계개념과 요소설계의 응용으로 분류되며, 각 장마다 피로개념을 일관성 있게 다루었다. 단위는 중력단위와 SI 단위를 일정비율 혼합하여 현대적 추세를 반영하였다. 예제 및 설계문제를 본문과 분리하여 배치하였으며, 산업현장의 실제 설계에 부응하도록 설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메카트로닉스
메카트로닉스는 기계, 전자, 전산 그리고 제어이론 등의 주요 공학적 요소가 유기적으로 융화되어 이루어진 학문으로서, 문자 그대로 기계기술과 전기·전자기술의 접목에 의해 기계의 기능 및 성능을 극대화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이 책에서는 각 요소 기술에 대한 세부사항들은 물론 통합기술로서의 메카트로닉스를 이해하고 익힐 수 있도록 알기 쉽게 도해적으로 기술하고 있어 기초적인 물리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다지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관련분야의 대학생들을 위한 참고 입문서의 역할을 물론, 전문대학의 학생이나 현장 근무자들에게도 메카트로닉스의 기초를 다지고 적용 및 응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이 책의 특징을 한마디로 말하면 알기 쉽고, 실용적이며, 자상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계공작법
최근에 이르러 기계를 공작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여러 가지 재료는 물론이고, 공작기계도 점차 발달하여, 자동화, 고속화, 초정밀화되고 있다.따라서 이러한 성능과 정밀도를 가진 공작기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응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에 이 책이 작은 보탬이 될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이 책은 저자들이 오랫동안 사용했던 강의 교안들을 재정리하여, 그 내용을 가급적 쉽고, 자세하게 기술하였고, 필요한 도표를 많이 인용하였다. 그리고 이번에 이 책의 내용 중 상당부분들을 다시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그러므로 독자들이 기계공작법을 공부하거나 참고하는 데 좋은 지침서가 되리라 생각한다.
21세기를 위한 공작기계
한국은 지난 반세기 동안 실로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루어냈다. 6.25 전쟁 이후 잿더미 속에서 출발하여 국민소득 1만불 규모의 잘 사는 나라가 된 것이다. 한국의 공작기계 산업의 발자취를 더듬어보면 한국경제의 발전과 맥을 같이 한다. 겨우 범용선반 몇 대 만들던 공작기계 산업이 지금은 CNC 공작기계를 생산하여 외국에 수출하는 나라가 된 것이다. 이러한 일들이 가능했던 것은 우리의 선배 기계인들의 뼈를 깎는 노력의 결과임을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이러한 공작기계 산업의 외형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 산업구조가 너무 취약하고 우리가 극복해야 할 일들이 태산처럼 쌓여 있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한국의 공작기계 산업의 새로운 도약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집필진들이 한마음이 되어 저술하였다. 본 책에서는 공작기계의 기본이 되는 절삭이론을 포함하여 공작기계 설계시 참고하여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다루었다. 공작기계를 단인공구를 사용하는 공작기계, 다인공구를 사용하는 공작기계, 연마입자를 사용하는 공작기계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며 주요 특수가공기계도 다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