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 플랜트
현재 우리나라에는 50여기의 바이오가스 플랜트가 시설되어 가동되고 있으나, 기술의 복잡성 때문에 시행착오도 겪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가스 플랜트에 관한 교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이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하여 교재를 발간하게 되었으며 각 분야별로 전문기술을 최대화하도록 힘썼다. 1장에서는 바이오가스 생산의 역사와 필요성에 관하여 서술하였고 2장에서는 바이오가스 생산에 관여하는 혐기미생물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혐기소화공정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어서 4장에서는 유기물을 가축분뇨와 혼합소화하는 기술을 다루었고, 5장에서는 플랜트 시설기술에 관하여 다루었다. 6장에서는 바이오가스의 저장, 정제, 이용과 전기생산에 필요한 기계장치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7장에서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운전과 고장제거 및 안전기술에 대하여 서술하였고 8장에서는 소화액의 액비이용과 정화처리기술을 다루었다. 9장에서는 바이오가스 플랜트의 에너지수지에 대하여 그리고 10장에서는 플랜트의 경제성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11장에서는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플랜트의 실제 사례를 들었다. 본 교재가 현장에서 근무하는 분들과 또 미래를 책임질 젊은 학생들에게 이해를 돕는 좋은 참고서가 되며 산업발전에 기여하기를 기원한다.
정역학
이 책은 모두 11개의 장으로 편성되었으며, 제1장에서는 역학과 연혁沿革에 대한 소개를, 제2장은 벡터 연산演算에 대하여 복습하도록 하였고, 제3장의 질점質點의 정역학에서는 질점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을 다루었다. 질점은 크기를 갖지 않으므로 모멘트는 취급하지 않았다. 제4장 등가等價 힘 계에서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취급하였다. 한 점 또는 여러 점에 작용하는 힘의 모멘트를 구하기 위하여 바리그논의 정리, 힘의 치환置換을 이용하였으며 임의의 축에 대한 모멘트의 크기를 구하기 위하여 벡터의 투영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짝힘우력과 렌치의 개념을 다루었다.제5장 강체剛體의 평형에서는 평형의 필요․충분조건, 자유물체도 그리고 평형방정식을 1차원, 2차원, 3차원에 대하여 수립하는 방법을 다루었으며, 제6장 물체의 중심重心과 도형의 중심中心에서는 기하학적 도형의 중심, 물체의 중심을 구하여 질량관성 모멘트 단면2차 모멘트 계산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7장 관성慣性 모멘트・단면 2차 모멘트에서는 기하학적 도형幾何學的圖形 또는 복합도형複合圖形의 단면 2차 모멘트와 질량관성 모멘트 및 극 관성 모멘트, 회전반지름을 구하고, 주축, 모어의 응력원應力圓에 대하여도 소개하였다. 제8장 구조물構造物은 트러스 정정靜定 부정정否靜定의 판정判定과 부재部材의 작용력, 프레임의 부재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였다. 제9장 보梁・케이블에서는 집중하중集中荷重과 분포하중分布荷重을 받은 보의 반력과 보의 부분에 대한 전단력剪斷力과 굽힘 모멘트, 그리고 케이블의 장력張力을 구하였다. 제10장 마찰摩擦에서는 주로 건성마찰에 대한 마찰력摩擦力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름마찰, 유체마찰流體摩擦에 대하여도 소개하였다. 마지막 제11장에서는 가상일의 원리를 이용하여 평형조건을 구할 수 있는 방법과 강체계剛體系의 평형개념을 다루었다.
식사요법
식사요법이라고 하면 그동안 병원에서 환자의 회복을 도와주는 정도의 치료식 분야에 국한되어 왔지만 질병의 양상이 영양과잉에 의한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변화함에 따라 질병의 발생과 관리에 식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만성질환이 음식과 깊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고 질환의 발생과 관리에 있어 식사와 영양의 중요성은 더욱더 커지고 있습니다. 식품영양을 공부함에 있어서 식사요법은 환자의 질병이 치료와 예방에 필수적이고 중요한 분야입니다. 이 과목을 통하여 신체의 각 기관과 만성질환과의 관계, 기관별 질환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식사요법을 이해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식단의 예 등을 제시하여 응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본 저서가 식사요법을 강의하는 학교, 영양교육 관련기관, 영양교육 상담 현장에서 질병과 건강문제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 있어 식사와 영양관련 문제들에 대해 실제적으로 도움이되는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산업경영개론
제1편인 1장과 2장에서는 산업경영의 지난 역사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고 관련 국내외 학회와 자격증 소개 등 신입생들이 궁금해 하는 졸업 후 진로 등을 위주로 설명하였다. 제2편은 산업경영의 고유 영역인 제조를 중심으로 편성하였다. 3장은 우리 학생들이 생산관리 부서에 배치되었을 때 수요예측에서부터 생산계획을 전개할 수 있는 약간의 지식을 가미해 보았고 4장은 많은 학생들이 품질관리에 관심을 두기에 자격증에 필요한 교육과정 소개와 재단법인 한국품질재단에서 양성하는 품질전문가 교육과정 등을 설명하였다. 5장은 생산과 판매의 중간에 위치한 물류에 관한 소개이다. 저자의 전문 분야이다 보니 분량이 다른 곳에 비해 다소 많은 점이 있으나 물류 자체가 매우 방대하다보니 그 영역을 쉽게 배분하지 못한 것 같다. 6장에서의 공장자동화는 생산물류와 관련된 부분 위주로 설명하였고, 7장에서는 최근 사회적 이슈인 산업재해를 기반으로 한 우리 학생들의 산업안전 기사 자격증 취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작업관리, 인간공학 등에 대한 설명이 가미되었다. 제3편은 산업경영에서의 경영 파트를 집계하였다. 기업의 의미, 기업의 목적, 유형 등을 8장에 설명하였고, 9장에서는 과거의 인사관리라고 하는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10장은 캐시플로우(cash flow)를 이해하는 산업공학도를 교육시키기 위한 기본 개념들을 설명하였다. 삼성코닝의 프로젝트 경험에서 얻은 “돈의 흐름을 이해하는 관리자만이 최후까지 살아남는다”를 상기하며 지금 10억 원을 가지고 있다면 어떤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11장은 마케팅인데 단순한 영업/판매와 다른 마케팅 고유의 역할인 시장점유율 결정을 중심으로 기업의 핵심 브레인 집단인 마케팅 부서를 설명하였다. 벤처 신화를 꿈꾸던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마케팅을 잘못하여 세계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포기한 사례를 기억할 것이다. 12장은 의사결정을 위한 계량경영학이라고 하는 OR과 알고리즘의 간략한 소개로 구성하였다. 제4편은 산업경영의 IT(정보기술) 영역이다. 대부분의 대학교에서 1학년 교과과정에 프로그래밍 기술을 편성하고 있으며 정보기술을 중요시 하는 경향은 다른 공학과는 달리 산업공학에서는 설계하고 문제 해결하는 수단이 프로그래밍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13장에서는 컴퓨터의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열거하였다. 14장은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시뮬레이션 기술들을 소개하였다. 삼성전자, 삼성코닝, 삼성SDI 등에서 아레나(Arena)를 활용하여 생산성 분석, 작업환경 개선, 설비 레이아웃, 원가분석 등을 하는 사례를 설명하였고, 최근 산업현장에서 회자되는 3D 시뮬레이션의 기술들을 언급하였다. 15장은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고 빅데이터 산업에 대한 필요성을 열거하였다. 16장은 경영정보시스템의 배경, ERP의 사례, SCM의 발전방향, 그리고 고객관리인 CRM의 기업 전략 등을 소개하였다. 17장은 그 외의 IT분야인 3차원 설계기술과 PLM을 설명하여 산업경영을 전공하는 여학생들의 새로운 진로 방향을 설정하였다.
자동차공학
대부분의 학생들이 처음 자동차를 대하기 때문에 그 호기심만큼이나 자동차의 전반에 대하여 그 원리와 공학적 이론과 실제의 기능들을 이해하기는 매우 어렵고, 이를 알기 쉽도록 표현한 교재도 매우 적은 편이다. 이 책에서는 자동차에 적용된 이론과 기술을 중심으로 하여 위에서 언급한 신기술들을 다루고 해설함으로써 독자들이 더욱 자동차를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였다. 제1장에서는 자동차의 역사, 제2장에서는 자동차의 제원과 차체, 제3장에서 제8장까지는 기관의 구조와 동작, 제9장에서는 동력전달장치, 제10장에서는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진동을 완화하는 현가장치, 제11장에서는 자동차를 조종하는 조향장치, 제12장에서는 자동차를 제동하는 장치, 제13장에서는 자동차 바퀴와 타이어 등에 대한 구조와 동작원리들을 소개하려고 하였다.
건축환경
건축환경은 건축공간에서 생활환경·작업환경을 향상 건강하고 쾌적하며 편리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환경계획, 건축계획원론, 건축환경공학 등의 이름하에 건축학 가운데 중요한 한 분야를 차지하는 학문으로서 발달하여 왔다. 건축환경의 목표는 인간활동의 환경에 대한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인간활동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통제 가능성을 밝히고, 인간을 위한 환경을 창출하는 데 있다. 본 교재는 일반적인 건축환경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주택, 공동주택의 에너지 절약부분을 다루었다. 이러한 분야를 얼마나 과학적으로 건축에 적용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한학기로 수업하기에는 영역이 넓으나, 계속 가까이 두고 연구하면 건축 공간의 활용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건축 활동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공학도를 위한 최소한의 C++
본서는 수학, 물리 등 이공계 과목에 익숙한 독자가 훨씬 빨리 이해하고, 공학 강의시간에 제시된 문제해결을 위해 C++ 언어를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교재를 만드는 것, 그러면서도 꼭 필요한 내용만으로 제한한다는 기준을 가지고 편찬되었다. 강의시간에 C++ 프로그래밍의 실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절을 일부 장의 뒤에 첨부하였으며, C++ 언어의 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연습문제를 관련된 장에 함께 정리하여 놓았다.
SI단위 공업열역학
공업열역학은 기계공업 분야에서 열에너지와 관계되는 열기관, 냉동기 또는 공기압축기 등의 열공학의 기초학문으로서 선진국들은 열에너지의 이용에 성공한 나라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모든 공업분야의 근원이 되는 학문이다. 이 책은 40여년간의 대학현장의 실험·실습 및 강의경험을 살려 공과대학의 초급학년에서 다루기 적합하도록 편집하였다. 우선 공업열역학을 다루는데 필요한 물리학적인 기초지식을 보충 설명하여 부족할 수 있는 물리지식을 해결토록 하였다. 또한 기계의 설계에 필수적인 수치적 계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학공식을 권말부록에 넣었으므로 강의 초기에 혹은 각자 자습하여 수학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ATmega128 마이크로컨트롤러 기초
본 교재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한 축을 이루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하드웨어와 이를 이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초지식과 그 사용방법에 대한 도움을 주기 위해 개발되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사용법을 익히기 위해서는 실습용 하드웨어가 필수적이다. 본 교재에서 ATMEL사의 ATmega128이라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적용된 하드웨어 키트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하드웨어 키트는 호스트 PC와 USB를 통하여 접속되며, 가격이 저렴하고, 가격 대비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이 스스로 실습하여 관련 능력을 연마하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판단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좋은 자료는 제조사가 제공하는 사용 설명서이다. 하지만 대부분 영어로 작성되어 있고, 참고할 수 있는 소스 코드도 없기 때문에 기초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교재는 ATmega128 사용 설명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선정된 하드웨어 키트에서 실행할 수 있는 C언어 소스 코드 예제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교재에 포함된 예제 코드들이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의 기초지식 연마와 능력 배양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강두수 화학
공무원 사회에 있어 화학은 직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본적 제공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시험과목으로서, 수험생들은 내용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현상을 탐구하고,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책에서는 ①기본개념을 정리하고, ②예제문제를 통하여 기본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③출・예제문제를 통하여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저자가 심혈을 기울여 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