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도시계획을 위한 바람길 도입 이론과 사례연구
본서의 구성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바람길 도입과 활용에 대한 실제적 이해를 돕기 위한 사례연구라 하겠다. 사례연구를 통해서 두 가지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도시의 공간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위계별 바람길 도입가능성에 대해 대구시를 사례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창원과 전주시의 도시재생사업을 사례로 개별단위사업을 통한 도시내의 바람길 조성가능성에 대해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례연구가 지니는 궁극적 의미는 향후 친환경도시를 조성함에 있어 한국도시의 전형적인 고층・고밀위주의 공간구조적 개발특성을 감안하여 이의 현실적 수용과 장기적 재조정에 대한 계획적 고민과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건축일반구조
기초전자회로 1
최근에는 고도의 IT 산업 성장과 더불어 스마트 폰, 스마트 TV 등으로 대변되는 “스마트IT 융합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IT 산업의 눈부신 발전은 컴퓨터공학이나 정보통신공학의 기초가 되는 전자공학과 반도체 공학이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 하겠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전자회로는 전기, 전자, 컴퓨터공학 뿐 아니라 정보통신, 제어계측, 메카트로닉스 등, 다양한 공학 분야의 기초가 되는 필수 과목으로, 전기전자 분야나 정보통신 분야의 진출에 뜻을 두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목이다.
건설정보화 기반의 최신건설공사관리학
‘건설정보화 기반의 최신건설공사관리학’의 초판은 2007년 8월에 출판되었다. 그동안 이 책은 전통적인 공사관리 이론과 방법론 뿐만 아니라 최신 공사 및 사업관리 기법 그리고 정보화 건설의 이론과 실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서적으로서 사랑을 받아 왔다. 그렇지만 8년이라는 시간 동안 다양한 형태의 학문적 발전 및 관련 법규 및 제도의 개정이 있어 왔기에 이를 반영하기 위해 개정판을 내게 되었다. 제 1장에서 현 법령과 제도에 따라 입·낙찰 제도 부분을 추가 보완·수정 했으며, 제 2장에서는 종전의 건설기술관리법이 건설기술진흥법으로 바뀜에 따라 기존의 ‘감리’ 가 ‘건설관리’로 통합 및 개정된 부분을 전면 수정했다. 또한 이 책에 처음으로 제10장 건설정보화의 도구에서 BIM개념과 적용효과 및 사회적 요구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여 최신 건설정보화 활용에 알맞게 개편했다. 마지막으로 12장에 정보화를 기반으로 한 건설장비 운용 및 관리기법을 새로 추가하여 Machine Guidance공법 및 ICT를 활용한 건설장비군 관제 기술에 관한 내용을 다뤘다.
기후변화와 녹색에너지
이 책은 동시대의 화두인 ‘기후변화’를 주제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류가 함께 고민해야 하는 키워드로서 ‘녹색에너지’를 설정하고 내용적으로는 생태환경의제문제와 윤리, 문화적 현상, 실천과제 등을 담고자 하였다. 이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색이상향 즉 ‘에코토피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문제에 대한 진단과 생태적 윤리, 에코디자인, 생태문화, 녹색에너지등의 잇슈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즉, 기후변화 해답은 친환경 지속가능한 사고, 생태윤리, 생태문화, 에코디자 인, 녹색에너지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최종 목적지는 ‘녹색 이상향’ 즉 ‘에코토피아’를 현실화하는 것이다.
쇄빙선박과 빙하중
이 책은 빙해역과 관련한 국내의 과학적, 기술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최근 동향을 반영하고 빙역학/극지공학의 연구저변을 넓히려는 목적으로 준비하였다. 본서는 지금까지의 입문서와는 달리 쇄빙선박 설계와 건조에 참여하는 전문가를 위한 “빙하중” 이란 주제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국외에서도 아직 발간된 바 없다. 빙해역 운항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빙해역 운항 시 선체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기존 빙해역 선급규정(Ice Class Rule)의 보완에 필요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쇄빙선박에 작용하는 빙하중을 산정하고 실선계측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빙하중을 추정하는 경험적인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이 책에서 추구하는 목표이다.
전기자기학
본 교재는 어려운 수학 및 물리학 등의 복잡한 수식을 최대한 쉬운 설명으로 대치하였고 분량도 줄였다. 연습문제들도 전기전자통신공학도들이 현실적으로 전자기이론에 접근하기 쉽게 선택 편집하여 전문대학, 4년제 대학 등에 알맞은 교재가 되도록 편집하였다. 즉, 각 절마다 기초이론을 이해할 수 있는 예제를 넣어서 설명하였고 그 응용 예를 제시하였으며, 장이 끝날 때마다 연습문제를 넣어서 다시 한번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었다.
자동화 · 메카트로닉스 기구설계
자동화, 메카트로닉스 기구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기계 요소로 구성된 메커니즘, 각종 구동기기, 검출·제어기기 등의 전기·전자 기기류를 사용한 직진·회전 운동 및 복합 운동기구를 말한다. 자동화의 기구 설계는 목적에 맞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최적인 구성 요소의 조합을 하는 최적 사이즈 선정이 주된 내용이다. 본 교재는 자동화,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의 기구를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요소를 선정하고, 설계를 하려고 하는 기계 기술자 및 전기 전자·공학의 전문지식이 없는 관련 분야의 현장 기술자를 대상으로 집필한 것이다.
GIS시리즈Ⅲ 환경GIS
본서는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의 구성을 GIS 기반의 수질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 과정과 일치하도록 분석 대상 유역의 선정, 오염원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와 구축, 수질오염부하량의 계산, 수질오염예측모델링, 오염삭감방법론 등의 순서로 하여 독자의 이해가 쉽도록 하였다.
개를 활용한 중재활동 기법과 프로그램 - 동물매개치료
본 교재는 Eva Domènec와 Francesc Ristol이 작성한 ‘Animal Assisted Therapy CTAC method–Techniques and exercises for dog assisted interventions’를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원광대학교 동물매개치료학과 김옥진 교수가 번역한 서적이다. 원 저자들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Sant Joan de Déu Hospital에서 환자 및 대상자들과 함께 활동한 풍부한 임상경험을 이 책에 담았다. 저자들은 동물매개심리상담사와 대상자들이 치료도우미견들과 함께 성공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많은 아이디어들을 제시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동물매개치료를 하고 싶어 하고 동기를 가지고 있으나, 치료도우미견과 함께 현장에서 어떻게 활동을 시작하고 무엇을 할지를 모른다. 원 저자들은 다른 사람들이 쉽게 동물매개치료 활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그 동안의 축적된 지식들을 이 책에 설명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 서적은 다른 병원들, 임상 및 사회 복지관들의 치료 스텝들에게 치료도우미견을 데리고 하는 동물매개중재활동의 기법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다. 옮긴이는 국내 동물매개치료 활동 그룹과 동물매개심리상담사에게 Eva Domènec와Francesc Ristol이 작성한 이 서적을 번역하여 소개함으로써 국내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활동 내용을 다각화하고 더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본 번역서는 동물매개심리상담사와 동물매개치료 관련 전문가들에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준비와 프로그램 개발에 무궁무진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