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 구조물의 시공과 보수·보강
본서에서는 새로운 건설 시장의 변화를 선도하기 위하여 토목구조물 전반의 시공법을 소개하고, 노후화된 기존 구조물의 리모델링 사례를 제시하며, 각종 구조물의 사례별로 보수・보강공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구조물의 전반적인 유지・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보수・보강공법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제시하여 현장의 실무 기술자에게는 기술 지침서가 되게 하였다. 구조물의 계획과 시공 그리고 보수・보강공법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여 대학 강의나 현장 기술자의 실무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토목공학개론
이 책에서는 인류의 긴 역사와 토목공학은 어떤 관계를 형성하여 발전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토목공학의 각 분야가 우리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생각해 본다. 또 최근 들어서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는 해양개발이나 해양플랜트 등의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언급하여 독자들이 토목공학을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토목공학의 이해
본서에서는 최근 들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조경분야, 각종 토목 구조물의 리모델링 사례, 그리고 제4차 산업혁명에 부응할 수 있는 스마트 건설을 소개하여 미래지향적인 건설 산업의 방향을 알아본다. 또한 각 부문별로 한국의 근대 건설 60년의 주요 내용을 알아보고, 토목공학이 우리들의 일상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발전해 왔는지를 소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안개발이나 친수공간의 개발과 관련하여 토목공학이 해양개발에 기여하는 영역을 소개하였다.
토목설계기초
건설(토목)은 설계자(Designer)가 기본적인 과목들(측량, 역학, 수리, 토질, 철근콘크리트 등)의 기초지식과 각종 법들(KS 규정, 각종 설계기준 : 콘크리트, 도로교, 철도교, 도시철도, 항만, 하천 등)을 바탕으로 합리적, 안정적, 경제적 구조물을 수요에 맞게 계획 및 구조계산을 하여 설계(Design)하며, 이를 도면화하여 현장에서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제도는 그냥 보고 그리는 것이 아니라 기하학과 도학, 투시, 구조형식, 규정 등을 바탕으로 입체(3차원)적인 구조물을 축소하여 평면(2차원)인 도면에 선의 종류와 명암으로 입체감이 나게 그려서 다시 현장에서 이를 입체적으로 실제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지식을 갖추는데 목적이 있다. 또 완성된 도면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려봄으로써 각종 구조물의 특성, 계획, 사용재료, 견적, 제작 등을 습득하여 장래 설계 및 시공하는데 지식을 쌓는데 목적이 있다.
토목시공학
본서는 국내에서 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토목시공학 관련 문헌에서 다루는 분야 외에도 도로, 철도, 운하, 공항, 그리고 환경 관련 구조물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반 시설의 계획과 시공법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많은 사진자료를 게재하였으며, 토목 시공 기술사의 수험 준비서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장별 내용을 선택적으로 발췌하면 토목 공학 개론 등의 교재로도 이용될 수 있도록 저술하였다.
토질역학
토질역학은 토질의 특성과 거동을 다루는 학문으로 기초공학과 지반공학 등에 응용되어 구조물의 기초, 도심지 굴착, 연약지반 개량 등의 문제에 적용된다. 토질의 특성과 거동은 복잡하고 불확실하여 토질역학의 이해를 위해서는 각종 역학에 대한 이론적 바탕에 경험과 상상이 더해져야 한다. 이 책에서는 흙과 관련된 일반적 사항에서 시작하여, 흙의 기본 성질, 흙 속의 물의 흐름, 전단강도와 토압, 압밀 등에 관련한 내용까지 담고 있다. 토질역학의 기본적 개념과 근본적 원리에 대한 충실한 설명으로 독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토질역학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어와 문맥도 누차 검토하여 독자들이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도록 노력하였다.
토질역학
토질역학은 토목공학 중에서도 가장 늦게 학문으로 자리잡은 분야이지만 최근에는 연약지반 처리, 도심지 굴착, 터널, 대규모 절토 및 성토, 지반보강, 지반환경, 고층 빌딩이나 중량구조물의 기초, 불포화 토질역학, 지반의 액상화 등 다양한 문제의 대두로 토목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가 되었으며, 학문과 기술도 획기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본서의 내용 구성은 기본적인 역학개념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토질역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요 내용만을 간추려서 수록하였고, 설명도 이해하기 쉽게 하였으며 각 장마다 비교적 풍부한 예제를 제시하였다.
토질역학 연습문제 풀이집
토질역학(임종석 외 9인)의 연습문제 풀이집입니다.
통계를 위한 SAS의 시작
통계는 무엇 때문에 하는 것인가? 저자도 통계를 배울 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혹자들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계가 전혀 다른 방법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다. 하지만 통계의 방법은 같고, 분야별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은 크나큰 오산이다. 다만 자료 특성과 자료를 통하여 설명하려는 주제에 따라 통계 방법을 달리하는 것이다. 분야에 따라 자료의 특성이 구분되기는 하지만 통계 방법은 동일하다. 통계방법은 크게 나누어 모수(Parametric) 통계와 비모수 통계(non-parametric)로 나눌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통계 방법은 모수 통계에 속한다. 그 이유는 자연 형상에서 볼수 있는 자료는 특별한 경우에는 정규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정규분포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실험실 자료와 같이 적은 반복수를 가지는 자료들은 정규성을 가질 것이다라는 가정하에서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반복을 늘려가면 정규분포를 할 것이다는 이론적 검토가 있기 때문이다.
통일정책의 변천과 북한
본서는 남북통일을 위한 노력과 지향한 목표를 정부별로 정리해보았다. 방향성에 대한 지적보다는 그 노력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방향의 다양성에 대한 평가는 이 책을 접하는 독자의 몫이라고 생각하였다. 다만 그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위하여 있는 그대로의 자료를 최대한 찾아보고자 하였다. 모든 자료를 넣자면 너무나 방대한 분량이 될 것이므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위주로 하여 정리해 보았다. 각 장의 구성은 정부의 성격을 기준으로 하여 시대별로 기술하였다. 군부정권, 진보정권, 보수정권 등으로 함께 묶어 정책의 계승 여부를 살펴보면서, 정부의 특성에 따른 공통점을 찾아보기 용이하게 하였다.